유머토끼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글쓰기
일자순
조회수순

독일군 소련인 무차별 사살 독일이 2차대전때 유태인 600만 죽이고 배상 했는데 소련군 1000만과 소련민간인

독일이 2차대전때 유태인 600만 죽이고 배상 했는데 소련군 1000만과 소련민간인 2000만 도합 3000만명 죽였는데 배상 했나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독일은 소련(현 러시아 포함)에게 2차 세계대전으로 인한 전면적이고 직접적인 '전쟁 배상금'을 서방 승전국 수준으로 **지불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부분적인 배상과 자산 이전, 그리고 정치적 보상 조치는 있었습니다.

1. 유대인 600만 학살과 배상

  • 이는 국가 간 전쟁 배상이 아닌, 홀로코스트라는 반인도적 범죄에 대한 보상으로 다뤄졌습니다.

  • 독일은 1952년 이스라엘과 룩셈부르크 협정(Luxembourg Agreement) 체결 → 약 30억 마르크를 지불.

  • 생존자 개인에게도 독일은 지금까지도 직접 배상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총합 약 100조 원 규모의 보상 지속 중입니다.

2. 소련의 피해 규모: 군인 1,000만 + 민간인 2,000만 ≒ 2,700만~3,000만

  • 독일의 침공으로 인한 피해는 세계 2차 대전 전체 사망자의 약 40% 수준입니다.

  • 이는 유럽에서 가장 큰 피해였습니다.

  • 하지만 직접적인 배상금 협정은 체결되지 않았습니다.

3. 그럼 소련은 왜 배상을 제대로 못 받았나?

● 이유 ① 냉전의 시작

  • 1945년 전쟁 직후, 곧바로 미국-소련 냉전 체제가 시작됨.

  • 독일을 '공동점령'한 상태에서 협조 체제가 빠르게 깨졌고,

  • 1949년 동독/서독 분단 → 서로 다른 진영의 국가로 분리됨.

● 이유 ② 독일의 분단과 배상 분할

  • 연합국은 원칙적으로 독일에게 공장 설비, 기술, 자원, 현금 등을 배상물자로 받아갔습니다.

  • 소련은 **자기 점령지(동독)**의 공장 설비를 뜯어가거나 철도, 기계, 노동력 등을 요구함.

  • 대표 사례: Zeiss(짜이스), Carl Zeiss Jena 등의 기술자와 장비가 소련으로 넘어감.

● 이유 ③ 소련의 강압적 배상 요구 방식

  • 돈 대신 **"점령지에서 직접 뜯어가는 방식"**을 택함.

  • 독일 동부에서 약 30만~40만 명을 강제노동자로 동원, 시베리아나 우랄지역으로 이주시킴.

  • 이 과정에서 엄청난 인권 침해 발생.

4. 정리: 독일이 소련에게 한 배상의 형태

항목

내용

현금 배상

❌ (이스라엘과 달리 국가 간 협정 없음)

공장 및 자산 이전

✅ (동독 내 시설 약탈 수준의 이전)

기술/노동력 이전

✅ (강제 노동자 수십만 명, 전문가 송출)

공식 배상 협정

❌ (서방 승전국과는 달리, 명시적 조약 없음)

전후 동독 유지 비용

✅ (사실상 소련의 위성국가 유지로 자원 보충됨)

5. 왜 독일은 유대인에게는 돈을 주고 소련엔 안줬는가?

  1. 유대인 학살은 '인종말살 범죄'로 국제사회가 인식 → 명확한 도덕적 책임

  2. 소련과는 냉전으로 정치·이념 분리 → 협상 자체가 파탄

  3. 소련은 공장·노동력 등 실물 중심 보상을 스스로 챙김 → 현금 요구 없이 사실상 실질배상

  4. 독일 내 좌우 이념 분열 속에서 서방은 서독 재건 중심, 소련은 동독 착취 중심

덧붙여: 현대 러시아는 독일에 배상을 요구할 수 있는가?

  • 국제법상 소련 해체 이후, 러시아가 승계 국가이므로 이론상 가능.

  • 하지만 1990년 '2+4 조약'(독일 통일 조약)에서 사실상 모든 배상 문제를 **"종결"**하는 조건이 들어감.

  • 따라서 러시아도 배상금 문제를 다시 꺼내긴 어려움.

✅ 요약